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Battle Brothers/육성법
(r2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방패병 === 추천 딜링 퍽 : 무기 숙련 추천 탱킹 퍽 : '''날렵함(nimble)''', '''약자(Underdog)''', '''제압(Overwhelm)''', '''방패 전문가(Shield expert)''', 거한(Colossus) 회피(Dodge) 맹렬함(Relentless) 추천 유틸 퍽 : ''' 길잡이(Pathfinder)''' 추천 적성: 체력(★★~★★★), 근접 방어(★★★), 추천 초기 능력치 : 체력 60, 근접 방어 8, 의지 30 이상 권장 능력치 : 체력 120+, 근접 방어 50 추천 무기 : 단검 , 창 한손무기와 방패를 들고 압도적인 근접 방어력으로 적의 근접 공격을 씹어넘기는 탱커. 여기에서 말하는 방패병은 낮은 능력치 때문에 생존성을 챙기려고 어쩔 수 없이 방패를 드는 저레벨 용병이 아닌, 방패병에 최적화된 스탯을 가진 매우 높은 자질을 가진 용병을 뜻하는 것이다. 크게 두가지인데 체력과 근방의 초기치가 높고 별이 높다는건 방패병의 필수 소양인데, 근공의 초기치가 높고 별이 붙었다면 근공까지 투자해 단검 딜까지 노려볼 수 있다. 주도력에 별이 붙었다면 회피와 맹렬함퍽을 찍어주고 주도력도 계속 찍어주어 아무것도 안해도 100이넘는 방어도를 가진 극단적인 탱커로 키울 수도 있다.[* 50이상 방어부터는 주사위에서 0.5로 계산되서 50을 넘기는 방어를 의미없다 생각할 수도 있다. 하지만 방어는 로그스케일을 따르므로 0에서 1로 올라가는 척도1은 50에서의 0.5와 같은 수치이며, 1에서 2로 올라가는 1보다 51에서 52로 올라가는 0.5가 더 크다.] 자체 딜링 능력이 매우 떨어지기에 방패병을 많이 두는 것은 좋지 않지만, 방패병을 하나도 두지 않으면 체력피해를 강제로 주는 야수들을 잡기가 매우 어려워진다. 야수를 잡는 퀘스트를 아예 패스한다면 모를까,[* 실제로 린드웜 언홀드 마녀 알프 스크랏 이프리트등 야수세력은 독보적으로 잡기 힘들고 갑주를 관통해 체력피해를 줘서 끔살도 잘나며 용병단이 줄부상이 날 가능성도 많아 다 거르는 플레이어들도 많다. 이런 퀘스트를 다 거르면 궁수나 님블 방패병을 안키워도 되기는 한다.] 이들을 잡으려면 방패병을 둬야만 한다. 님블인 이유는 배틀포지드를 찍으면 퍼틱을 매우 높게 투자해야해서 님블에 비해 상대적으로 체력이 낮아 언홀드의 던지기나 나무정령의 뿌리, 마법사의 장판 같은 스킬들을 버티기 힘들다. 야수를 제외한 적을 상대할때는 배틀포지드 방패병이 유리하지만 사실 그런 적들 상대로는 배틀포지드 투핸더도 충분히 잘 버티고 한명의 화력이 아쉽기 때문에 배틀포지드 방패병을 육성하는 경우는 적다. 님블 방패병은 퍼틱을 많이 차지하는 장비를 아예 입지않기 때문에 퍼틱투자를 거의하지 않고 대신 방어와 체력을 계속 찍는다. 후순위로 주도력에 계속 투자한 후 맹렬함까지 찍어 극단적으로 방어를 올리거나 근공을 투자해 단검이나 창들고 보조딜을 노린다거나 정도로 육성을 달리할 수 있다. 띠리서 방패병도 스탯과 별이 매우 잘 뽑힌 용병으로 선정해야한다. 여러모로 언홀드,린드웜,마녀,가이스트등 투핸더들로만 형성된 용병단이 상대하기 힘든 형태의 적들에 특화되어있고 일반적인 전투라 할지라도 적진 외각으로 돌진해 적 다수를 유인해 붙들고 늘어지는등 유용하게 쓸 수 있다. 보통 무기는 단검 경우에 따라 방패를 부술 한손도끼 정도가 주로 사용되며, 그 밖에는 창이 고려된다. * 한손도끼 - 근공을 아예 포기한 형태의 방패병이다. 일반 공격은 사실상 봉인한 채 언제나 100% 명중하는 특수 공격 방패 부수기만을 사용하기 위해 선택한다. 한손검보다 피로도 소모가 크다는 것이 단점. * 한손창 - 근공에 거의 투자하지 않더라도 창을 들면 명중률 20%의 힘으로 그럭저럭 맞출만은 해서 잡졸을 정리에 쓸 수 있다. 근공에 별이 없다해도 초기치에 큰 문제가 없다면 근공이 3이 떳을때 간간히 적당히 눌러주면 20% 명중률 보너스를 받아 언데드 트로피를 들고 가이스트 처치 전담요원으로 삼는데 매우 유용하다. 좀비들에게 둘러쌓인들 맞지도 않고 길막해도 방패병이 ZOC 무시하고 달리는걸 때려서 멈추지도 못한다. 마녀상대로도 유용한데 늑대들 따위 무시하고 일직선 돌격이 가능해 마녀에게 빨리 붙어서 창으로 찌르면 된다. 마녀가 매혹한다면 창은 아군에게 그다지 위협적이지 않아서 이득이며 헥스가 걸려도 무시하고 마녀를 때려잡아도 된다. 님블 방패병은 체력이 매우 높기 때문이다. * 단검 - 도발이나 로테이션같은 유틸퍽을 배제하고 제압퍽을 이용, 오크 족장같은 가장 위협적인 적을 전담마크하는데 매우 유용하다. 창을 쓰건 도끼를 쓰건 퍽을 안찍는데 반해 단검은 턴당 공격을 여러번해서 퍽을 꼭 찍어야하는 편이며 제압퍽까지 먹어서 퍽이 매우 빡빡하며 제압은 주도력이 높아야 의미가 있는데 기왕 단검질 하는거 근공까지 좋아야한다. 방패병이 늘 그렇지만 레벨업시 체력과 근방을 고정으로 찍고 의지 주도력 근공 중 숫자가 높은걸 찍어주는 정도로도 의미있는 주도력과 근공이 되려면 고급배경의 좋은 초기치가 필요하다. 비싼돈 주고 뽑았지만 근공에 별이 안붙은 고급배경의 용병을 활용하는데 가장 좋은 역활이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